natural.lee 2022. 8. 29. 01:02
728x90

<요약>

 

- 시총 : 12993억 (2022.8.29)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 33.30%

 

  • 동사는 2005년 4월 사명을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하였고 건설중장비, 엔진 등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 건설기계와 관련하여  북미와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는 채널 역량과 제품 경쟁력 강화 및 관리체계 효율화를 통해 지속적인 사업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2021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두산밥캣 지분을 포함한 투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두산중공업 주식회사에 흡수합병하는 흡수인적분할합병방식으로 분할하였음.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5% 감소, 영업이익은 4.5% 감소, 당기순이익은 41.9% 감소. 판관비와 인건비 등 주요 비용이 감소하였지만 매출액, 영업이익 등이 감소함에 따라 당기순이익이 감소하였음. 동사는 대형 전자식 엔진 및 경제형 엔진 개발을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로 대형 OEM 발굴을 지속하여 안정적인 매출 확보를 추진 중임.

 

 

 

 

<관련기사>

 

2022.8.26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발표 이후 

현대두산인프라코어 현대건설기계등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건설기계업체들의 주가가 들썩이고 있다. 주요 판매지역인 중국에서의 실적이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전 거래일 대비 15.26% 상승한 6570원에, 현대건설기계도 7.88% 상승한 4만2450원에 상승 마감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건설기계는 모두 현대중공업그룹의 계열사로 중국의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까지 실적이 급감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올 상반기 매출은 2조3452억원, 영업이익은 1조9149억원이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9.4%, 12.6% 감소한 수치다. 현대기계건설의 올 상반기 매출은 1조8075억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했지만, 영업이익은 83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0.3%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 정부가 연이어 경기 부양책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날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고속철도나 수로, 에너지 분야 등 인프라 투자에 6조8000억위안(약 1324조원)을 쏟아부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지난 24일 리커창 중국 총리 주재로 열린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도 인프라 프로젝트 대출 한도를 3000억위안(58조6000억원)으로 늘리는 것을 포함해서 약 1조위안(195조원) 규모의 19개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다.
이들 외에도 진성티이씨나 디와이파워 등 굴삭기 부품업체들도 중국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수혜주로 떠오르면서 주가가 상승세를 탔다. 디와이파워의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8.23%, 진성티이씨도 6.93% 상승했다.

 

 

 

<재무추이>

 

 

 

 

 

 

 

<전자공시>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현황

 

 

 

 

 

▶주요고객사 및 매출현황

가. 시장 여건
 (1) 산업의 특성
   - 건설기계: 건설기계 산업은 건설기계 작업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대량생산 체제 구축을 위한 시설투자가 요구되는 산업입니다. 또한, 내수 대비 수출에 집중해야 하는 수출 지향형 산업이며, 소재부터 부품에 이르기까지 기계 산업 전반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요구되는 기술 집약적 산업입니다. 건설기계 산업은 엔진, 동력전달장치, 유압장치 등 다양한 부품의 가공조립 산업으로서 관련 부품 산업의 발전과 계열화 정착이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핵심부품은 오랜 경험과 기술 축적을 필요로 하는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됩니다. 건설기계는 대규모 Infrastructure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건설현장, 광산, 농업, 산림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며, 계절적 수요의 변동성이 큰 산업입니다. 한국 시장은 가동률이 떨어지는 우기 및 동절기는 비수기로서 건설기계 시장의 수요가 줄어들고, 상하수도 공사 및 토목공사가 활발해지는 3~5, 9~11월은 성수기로서 시장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중국 시장은 정부 정책 및 투자가 집행되는 3~5월은 성수기로서 시장 수요가 최고로 증가하며 중국 남부 지역의 우기가 시작되는 6~8월은 비수기로서 시장 수요가 감소합니다.
 
  - 엔진: 엔진 산업은 대표적인 기계장치 산업으로 대규모의 설계, 시험, 소재, 가공, 조립 설비투자와 각국의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강화되는 배기규제에 대응하는 기술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품질향상, 연비개선 등 제품 경쟁력 확보에도 많은 투자가 소요되는 자본, 기술 집약적 산업입니다. 주로 상용차량, 건설/산업기계 및 발전기 및 선박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부품사업으로서 건설, 물류, 수송, 광업, 농업, 해양, 에너지 등 전 산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후방산업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투자비 비중이 높은 엔진사업의 특성상 대규모 물량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를 보장받기 위해 고정적으로 물량을 공급하는 Captive 업체 또는 장기 물량 공급계약의 중요도가 높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 건설기계 : '16년 이후 세계 건설기계 시장에는 글로벌 경기 회복 및 재구매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 모멘텀이 이어졌으며, '21년에는 전년의 코로나로 인한 시장침체를 해소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시행 등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2년에는 북미,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한 견조한 수요가 전망되나, 물류 및 부품 수급의 리스크 등으로 불안정성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향후 건설기계 시장은 고객의 Needs가 점차 다변화/세분화되는 추세에 발맞춰 솔루션 비즈니스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이며, 건설현장에서의 Digitalization이 가속화됨에 따라 디지털 기반 신사업의 성장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엔진 : 엔진 시장은 '16년부터 중국을 중심으로 한 건설기계 시장의 성장과 유가 회복에 따른 Oil & Gas 시장의 안정적인 가스 엔진 수요 등을 통해 성장해 왔습니다.'22년에는 전년에 이어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경기 회복 및 장비 수요 증대에 견조한 수요를 보이고 있으나 대외 환경변화에 따른 물류 및 부품 수급의 리스크 등 불안정성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배기규제 전환기에 따른 진입 기회, 고출력 대형 엔진 시장 성장 및 신흥 시장 엔진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성장기회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전 세계 엔진 제조사들은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협력구도 강화, 사업구조 최적화, 용도/지역 맞춤형 성장 전략 추진 등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엔진의 전동화 추세가 소형 장비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Hybrid, Electric, Fuel cell 등 미래 파워트레인 시장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건설기계와 엔진 산업은 에너지 산업, 건설 경기 및 자동차 경기 등을 비롯한 전방 산업의 수요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사업 분야로서 전반적인 국내 경기상황, 정부의 SOC 투자정책과 해외 경제 동향 등에 따라 수요가 좌우됩니다. 또한 환율 변동에 의하여 국가별 가격 경쟁력이 결정되므로 미국의 달러화, 유럽의 유로화 및 당사의 경쟁업체가 집중된 일본의 엔화 추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한편, 원자재 가격 상승 시 관련 투자 증가 및 기계 가동률 상승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 건설기계: 건설기계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완전 경쟁 체제로서, 다수의 글로벌 업체와 특정 지역 내 기반을 둔 로컬업체들의 시장 참여 확대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건설기계 시장은 당사를 비롯한 Caterpillar, Komatsu, Volvo 및 Hitachi 등이 선도 업체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각 나라에서의 시장 진입은 제품의 직접 생산 후 판매하는 방법과 단순 수입 후 판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근래에는 시장 규모와 성장성이 뒷받침되는 신흥 시장에서 직접 생산하여 판매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제품의 성능, 품질 수준이 대등해지면서 신차 가격 및 중고차 가격, 영업, 서비스, 부품 조달력 등 판매 전후 활동에 있어서의 경쟁력이 주요한 경쟁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 엔진: 엔진 제품은 각종 차량, 산업장비, 선박의 핵심부품으로 다양한 환경과 요구조건 하에서 신뢰도 높은 성능과 안정성,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며, 탑재 장비의 성능을 최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고객에 최적화된 제품을 공급해야 합니다. 또한, 고출력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연비성능을 통해 유지비를 최소화하고, 엄격한 배출가스 통제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엔진을 구현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승용 시장을 중심으로 한 파워트레인의 전동화 추세가 산업용으로도 확대되어 선도사를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며, 기존의 내연기관 엔진 시장에서도 'Zero Emission'을 위한 친환경 엔진 개발 경쟁이 지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5) 자원 조달의 특성
   당사 제품에 투입되는 다양한 부품의 국산화가 활발히 추진되어 국산화율이 많이 높아졌으나, 건설중장비의 유압부품 등 일부 핵심부품은 상대적으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수준으로, 국제경쟁력의 확보를 위해서 이들 핵심부품의 국산화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Global Production에 대응하기 위하여 Global Sourcing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Global Standard에 의한 기종간 부품 표준화, 절대 부품 수 감축 등 원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수년간 국산화 및 공급 업체 다변화 노력으로 급변하는 시장 수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부품 조달 역량을 확보하였습니다.
 엔진 부분에서 Block/Head의 원재료인 주철과 주요 부품들은 대부분 국산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제어시스템 및 Injection Pump 등 핵심부품은 해외 선진 부품을 사용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Global Sourcing을 꾸준히 추진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협력사들과 견고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안정적인 부품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6) 관계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 관계 법령
- 건설기계: 국내의 경우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에 따라 국토교통부가 건설기계수급조절위원회의 심의를 통하여 사업용 건설기계 등록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현재는 덤프트럭, 콘크리트 믹서 트럭, 콘크리트 펌프에 한하여 신규 임대 장비 등록을 제한 및 조절하고 있습니다. 배기규제의 경우, 한국 시장은 '20년 12월에 Stage V 배기규제가 발효되었습니다. 중국 시장은 '14년 10월부터 China 3 규제가 적용되고 있으며 '22년 12월부터 China 4 규제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북미 시장은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the "EPA")와 주(州)별 규제 기관의 공표에 따라 '13년부터 단계적으로 Tier 4 Final 규제가 적용 중이며, 유럽 시장은 '19년부터 단계적으로 최신 Stage V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중입니다.

* 국내 관련 규제
 (1) 건설기계의 형식승인과 신고: 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건설기계를 제작, 조립하는 경우 작업 및 도로운행시의 안전한 주행과 교량 등 대형 시설물의 파손방지 및 안전사고 등으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성능과 안전성이 확보된 건설기계가 제작 및 수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2) 대형 건설기계의 도로운송 제한: 도로법에 따라 도로운행이 제한되는 기준은 크게 차량제원에 대한 기준과 중량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차량제원에 대한 기준은 길이 16.7m, 너비 2.5m, 높이 4.0m 를 초과할 경우, 중량에 대한 기준은 총 중량 40톤, 축 중량 10톤을 초과하는 경우가 기준입니다.
 (3) 건설기계 제작결함 시정제도: 제조자가 제작한 건설기계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운행 또는 작업의 안전에 지장을 주는 등의 결함이 발생한 경우 사업자 스스로 또는 명령에 의해 소비자에게 결함내용을 알리고, 해당 결함제품을 수거하여, 파기 또는 수리, 교환 환불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결함제품으로 인한 소비자 위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엔진: 2004년 처음으로 환경부에서 건설기계에 대한 배기규제가 적용된 이후로 디젤 엔진의 배기규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국내 건설기계에 대하여 '20년 12월 부터 일괄적으로 Stage V 규제가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국내 차량용 엔진의 경우, CNG 엔진은 '14년 1월부터 Euro6 배기 규제가 적용되었으며, 디젤 엔진은 '15년 1월부터 Euro6 배기 규제가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미국 지역은 '13년부터 단계적으로 Tier4 규제를, 유럽 지역은 '19년부터 단계적으로 Stage V 규제를 적용 중이며 중국 및 신흥 시장 또한 규제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7) 신규 사업에 관한 사항
- '21년 5월 당사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팩 시제품 1호기를 제작 완료하였습니다. 이후 실제 장비 탑재 테스트를 거쳐 ‘22년 내 1.7톤급 전기 굴착기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 건설기계: 한국 및 신흥 시장에서는 지속적인 채널 역량 강화 및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 공급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 등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수익성 개선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는 제품/채널 경쟁력 강화 및 제조 원가 혁신을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다양한 고객 가치 제공과 서비스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고객 니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유연한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북미와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는 채널 역량 향상, 지역 맞춤형 제품 출시를 통한 사업 경쟁력 강화, 관리체계 효율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사업의 성장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엔진: 중장기 Product Roadmap의 수립 및 지속 보완을 통하여 새로운 배기규제에 맞는 신기종 개발, 엔진 Line-Up 확장 등에 노력하고 있으며,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를 통해 작업환경 개선 및 품질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신규 고객 발굴, 신사업 발굴을 통한 선진시장 및 미개척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신 배기규제를 만족하는 친환경 소형 엔진에 대하여 기존 고객으로의 안정적 공급 및 국내외 농기계, 지게차 업체로의 공급 확대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의 상위 배기규제인 Stage V가 발효됨에 따라 해외 고객 엔진 공급 및 신규 물량 확보를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 시장점유율 추이는 객관적인 자료출처를 통해 업체간 점유율이 비교 가능한 경우 기재하였음
▶ 굴착기

구분 2022년 2021년 2020년
내수 - - -

※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2022년 반기 매출액은 23,424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매출액은 연결조정금액을 반영한 순매출액입니다)
주요 경쟁회사별 시장점유율은 경쟁사별 판매 현황을 확인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 건설기계: 한국 시장에서 건설기계 수요에 가장 큰 변화를 주는 요소는 건설 및 토목경기입니다. 또한, 한국 시장은 5~6년 주기의 교체 수요 및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한국 시장의 고객 비중을 보면, 개인 중장비 임대업체가 약 80%를 점유하며 기타 자가 업체 및 군 관납이 20%를 차지합니다. 신흥 시장은 도로/철도/항만 등 대규모 인프라 신설공사 비중이 높아 중/대형장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과 농촌의 도시화 진행으로 미니/소형 장비의 시장이 점차 성장하고 있습니다. 북미, 유럽 시장은 높은 도시화율에 따라 시장 내 소형 장비의 비중이 높으며, 높은 시장 성숙도에 따라 상위 단계의 배기규제 기준이 적용된 첨단 신기술 제품이 가장 먼저 출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농촌의 도시화, 인프라 건설, 환경 보호 강화에 따른 장비 교체 수요 증가로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 엔진: 엔진 수요는 B2B 제품 특성 상 전방산업의 수요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북미/유럽 등 건설경기 시장 동향에 따라 주요 고객에게 공급되는 소형 엔진의 판매량이 변화하며 세일 가스 시장의 변화, 신흥 국가의 전력 소요량 증감에 따라 발전기용 엔진 수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엔진 시장은 배기규제 대응 및 핵심기술 보유 여부와 주요 차량/탑재 장비에 대한 Captive 관계 여부에 따라 진입 가능한 시장이 제한되고 있으며, 타 산업에 비해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 새로운 시장 참여자에게 너그러운 편은 아니나, 성공적으로 시장진입을 완료할 경우 안정적인 매출확보와 기술 프리미엄을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한편으로, 각국의 배기규제 강화로 엔진 개발에 필요한 요구기술 및 소요비용이 증가되고 있고, 연료 에너지 고갈 대비에 따른 연비 기술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기술 및 자본이 열악한 후발 업체들의 탈락이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어 기술 우위 업체들의 매출확대 기회가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경우 배기규제 전환기에 장기 공급계약 등을 통해 대형 Captive 고객을 확보하는 전략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21년 5월 당사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팩 시제품 1호기를 제작 완료하였으며, 연내 양산 예정입니다. 배터리팩은 당사의 1.7톤 전기 굴착기에 탑재될 예정으로, 전기 굴착기는 실제 장비 탑재 테스트를 거쳐 '23년 초 상용화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기준일: 2022년 06월 30일)

부문비고

건설기계 굴착기 등 생산 및 판매
엔진 디젤엔진 등 생산 및 판매
기술원 선행연구개발 및 디자인 개발
직할 재무관리, 전략, 구매/품질관리, 인사, EHS, 시설관리 등 지원기능



다. 사업부문별 재무 정보

 

연결회사의 각 사업단위별 주요 제품에 따라 영업부문을 구분하고 있는 바,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업부문주요 제품

엔진사업부문 ("엔진") 상용차, 버스 등 육상용 엔진, 엔진부품 등
건설기계사업부문 ("건기") 굴착기, 굴착기부품 등

 


연결회사의 당반기와 전반기의 영업부문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부문별 손익

1) 당반기

(단위: 백만원)

구  분매출액내부매출액영업손익반기순손익감가상각비(주2)

엔진 591,242 (111,443) 63,688 47,970 34,023
건기 2,672,692 (809,993) 127,803 83,761 42,353
연결조정(주1) (921,436) 921,436 - - -
합 계 2,342,498 - 191,491 131,731 76,376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주2) 유형자산감가상각비, 투자부동산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및 사용권자산상각비의 합계입니다.


2) 전반기

(단위: 백만원)

구  분매출액내부매출액영업손익반기순손익감가상각비(주2)

엔진 491,078 (13,420) 20,591 401 35,176
건기 3,028,659 (920,556) 198,417 129,492 40,844
연결조정(주1) (933,976) 933,976 - - -
합 계 2,585,761 - 219,008 129,893 76,020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주2) 유형자산감가상각비, 투자부동산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및 사용권자산상각비의 합계입니다.

(2) 부문별 자산부채

1) 당반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엔진건기공통연결조정(주1)합 계

자산총액 1,002,867 3,188,614 2,480,940 (1,803,544) 4,868,877
부채총액 810,365 3,644,318 (157,744) (954,290) 3,342,649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2) 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엔진건기공통연결조정(주1)합 계

자산총액 878,254 3,154,756 2,630,609 (1,881,329) 4,782,290
부채총액 730,567 3,646,839 30,906 (995,846) 3,412,466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3) 연결기업이 위치한 지역에 따른 현황

1) 당반기

(단위: 백만원)

구  분대한민국북미아시아유럽기타연결조정(주1)합 계

매출액 2,023,266 217,411 563,856 427,911 31,490 (921,436) 2,342,498
내부매출액 (646,874) (365) (231,350) (42,847) - 921,436 -
순매출액 1,376,392 217,046 332,506 385,064 31,490 - 2,342,498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2) 전반기

(단위: 백만원)

구  분대한민국북미아시아유럽기타연결조정(주1)합 계

매출액 1,901,520 184,446 1,040,530 373,207 20,034 (933,976) 2,585,761
내부매출액 (702,689) (500) (204,792) (25,929) (66) 933,976 -
순매출액 1,198,831 183,946 835,738 347,278 19,968 - 2,585,761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4) 지역별 비유동자산의 현황

(단위: 백만원)

구  분당반기말전기말

대한민국 1,203,571 1,233,438
북미 13,217 12,083
아시아 90,355 95,468
유럽 24,365 25,903
기타 10,707 9,043
소  계 1,342,215 1,375,935
연결조정(주1) - -
합 계(주2) 1,342,215 1,375,935

(주1) 연결조정은 영업부문별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 제거 등입니다.
(주2) 유형자산, 투자부동산, 무형자산 및 사용권자산의 합계액입니다.

 

 

라. 환경관련 규제사항

과거의 제조 사업장에만 해당되던 환경규제는 점점 그 대상을 제품에 대한 규제로 확대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고 있기에, 현대두산인프라코어에서는 아래와 같이 크게 세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사업장 환경규제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대기, 수질, 폐기물 등의 오염물질 저감을 위하여 인천, 군산, 안산, 보령 등 모든 사업장에서는 적합한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적법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환경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관리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받고 있습니다.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로는 도장공정과 보일러 둥에 발생하는 NOx, SOx, 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 등이 있으며, 지역사회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환경유해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각 사업장 단위별로 각종 집진기, 신규 도장설비 및 농축촉매 산화시설 등을 설치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오염물질의 법적 자가측정 주기 이상으로 엄격한 측정을 실시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법적 기준의 40%이하로 배출되도록 기준을 수립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수질오염물질 관리를 위해서, 인천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48% 이상은 자체 처리 후 공정 내 재이용함으로써 외부로의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군산공장의 폐수는 적법한 폐수처리시설을 통해 정화한 후 지자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재처리됩니다. 수질오염물질 배출 또한 사내 기준을 법적 기준의 40%수준으로 설정하여 관리하는 등 환경법규 준수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96% 이상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통한 자원순환에 기여하고, 사업을 통한 환경영향을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사업장에 대한 ISO 14001 인증(환경경영시스템 국제 인증)을 완료하여 자율관리체계를 구축, 준수하고 있습니다. 

  

(2) 제품환경규제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EU REACH/RoHS 3, 한국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및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등 국가별 유해화학물질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공장 내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고, 친환경 제품으로 대체하는 노력을 통해 화학물질관리법 관리 대상 물질을 전체 대체 완료하고, 이후 신규 지정되는 물질들도 지속 대체 활동을 통해 유해화학물질 원천 미사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7년 글로벌 수준의 REACH/RoHS 2 IT 시스템 구축 및 중국 법인 롤아웃(Rollout)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더욱 강화된 규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사 유해물질관리 운영 CF 구성, 규제물질 관리 방침 수립, 관련 부서 업무 프로세스 가이드 배포, RoHS 3 대응을 위한 대체물질 개발, 해외법인 대응 프로세스 정립, REACH/RoHS 3 물질 입력 신규 및 갱신 요청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유해화학물질 관련 규제 적용 범위가 완성품에서 부품으로 확대됨에 따라 협력사 유해화학물질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기본 구매 계약서 내 REACH/RoHS 3 협력사 의무조항을 포함하였으며, 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사 담당자 교육 및 방문 지도, 관리 프로세스 수립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3) 기후변화이슈 대응(녹색경영)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기후변화이슈 대응을 위하여 외부 기관으로 부터 적합성을 검증 받은 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를 지속가능경영보고서(통합보고서)를 통해 대외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간 생산계획 등을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하고 배출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에너지 절감 및 효율 제고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 굴착기 등 에너지 고효율 및 저탄소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차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