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중국주식

징동닷컴, 알리바바, 텐센트 2021년1분기 실적

natural.lee 2021. 4. 8. 16:02
728x90

 

 

징동닷컴

 

4Q20 리뷰: 컨센서스 하회

징동닷컴 4Q20 실적 발표. 컨센서스 대비 2% 상회, EBITDA 기준 22% 하회

• 매출액 2,243억위안 (+31% YoY), OP 12위안 (+73% YoY) 기록. 컨센서스 하회

• 사용자 4.7억명 (+0.3억명 QoQ). 3선 이하 도시 기반으로 성장폭 확대

• 직매입 매출액 +28% YoY 기록. JD Super, 헬스케어 제품 高수요 지속

• 다만 수익성 낮은 제품군으로 Mix 변경으로 매출원가율 86.1% (+0.2ppt YoY)로 상승


1Q21에도 사용자 증가 통한 외형 성장 지속

1Q21 매출액 2,054억위안 (+40% YoY), OP 62억위안 (+84% YoY) 예상. 컨센 상회

• 추정치 대비 매출액 4% 상향. EBITDA는 17% 상회 전망. 사용자 증가 효과 부각

• 특히 4Q20 Mix 변경으로 인한 수익성 둔화 우려는 일부 해소될 전망

• 3선 이하 지역 공략 위해 Jingxi 사업부 개편. 1Q21 매출 증대 효과 본격화 예상


단기 수익성 우려는 존재
장기 이커머스 점유율 확대 기대감 반영 예상

단기 수익성 우려 존재하나 장기적으로 징동닷컴의 주도권 통한 리레이팅 지속 전망

• 4Q20 물류 창고 900개 (+100개 QoQ)로 증가폭 확대. 단기 수익성 우려 부각

• 또한 알리바바에 이은 텐센트 등 온라인 플랫폼 반독점 규제 강화에 대한 우려도 존재

• 그러나 JD는 알리바바의 시장 지배력 남용으로 인한 피해 기업. 장기 긍정적 영향 예상

• 단기 수익성 우려 존재할 수 있으나 장기 점유율 확대 기대감은 지속될 전망

• 징동닷컴은 2021년 EV/EBITDA 22배. 아마존 2014년 28배 대비 저평가


 

 

알리바바

 

4Q20 리뷰: 컨센서스 부합

알리바바 4Q20 (FY3Q21) 실적 발표. 대체적으로 컨센서스 부합

• 매출액 2,211억위안 (+37% YoY), OP 613억위안 (+21% YoY) 기록. OP 컨센 부합

• 10월부터 중국 1위 마트 ‘썬아트’ 매출 편입 시작. 제외시 매출 컨센서스 5% 하회

• 중국 커머스 매출액 1,575억위안 (+38% YoY) 기록. Feed 광고와 썬아트 인수 효과

• 클라우드 매출액은 161억위안 (+50% YoY) 기록. 조정 OP 기준 첫 흑자 기록


실적 보다 중요한 건 불확실성

1Q21 매출액 1,731억위안 (+51% YoY), OP 319억위안 (+61% YoY) 예상. 컨센 부합

• 추정치 대비 매출액 및 EBITDA 12%, 10% 상향. 그러나 썬아트 제외시 컨센 하회

• 실적보다 더욱 중요한 변수는 전자상거래 및 앤트그룹과 관련한 규제 우려

• 전자상거래는 12월 24일 ‘양자택일’ 조사 시작. TF 설립 후 내부 리뷰 또한 진행 중

• 앤트그룹은 온라인 소액대출 규제 등으로 IPO 지연. 단기 불확실성 제거 가능성 미미


단기 모멘텀 요인은 부재

알리바바의 장기 성장성은 유효. 그러나 불확실성으로 단기 모멘텀은 약세 전망

• 중장기적으로 온라인 중심 중국 소비 회복과 알리바바의 ‘디지털화’ 전략은 긍정적

• 다만 앤트그룹 IPO 지연 이후 지속되고 있는 규제 강화는 알리바바의 불확실성 요소

• 더욱이 ‘양자택일’ 관련 조사는 알리바바에 대한 부정적 결론으로 도달 가능

• 점차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이 다변화됨에 따라 알리바바 주도권 약세 가능성 존재

• 알리바바는 FY2021 (3월 종료) EV/EBITDA 20배. 역사적 저점 FY20 22배와 유사

• 현재 주가에서 추가 하락은 제한적. 그러나 단기 상승 요인 또한 부재하다고 판단

 

 

 

텐센트

 

4Q20 리뷰: 단기 밸류에이션은 부담



4Q20 리뷰: OP 컨센서스 상회

텐센트 4Q20 실적 발표. 매출액 컨센서스 부합, OP는 5% 상회

• 매출액 1,337억위안 (+26% YoY), OP 381억위안 (+26% YoY) 기록. 컨센서스 상회

• 모바일 게임 매출액은 367억위안 (-6% QoQ, +41% YoY)으로 둔화 관찰

• 낮은 프로모션 효과와 중국 내 정상화 기조에 따라 분기별 결제액 축소 지속

• 광고 매출은 247억위안 (+22% YoY)으로 회복 지속. Bitauto 인수 영향도 존재


1Q21 광고 매출 회복 예상

1Q21 매출액 1,256억위안 (+16% YoY), OP 415억위안 (+17% YoY) 예상. 컨센 부합

• 추정치 대비 매출액 4% 하향. 정상화 기조로 게임 매출 성장률 둔화 확대 영향

• 모바일 게임 매출액 359억위안 (+3% YoY) 예상. 춘절 프로모션 확대로 성장세 유지

• 광고 매출은 209억위안 (+18% YoY)으로 호조 지속 전망. 위챗 생태계 우위 지속

• 특히 2020년 위챗 기반 거래금액 +2배 YoY. 공식계정, 미니프로그램, 결제의 선순환


높아진 밸류에이션은 부담
장기 성장성 유효

단기 밸류에이션 부담은 존재. 다만 2021년 광고 및 핀테크 사업 회복에 주목

• 수급 이슈로 밸류에이션에 대한 단기 우려는 존재. 관련 규제 우려도 부각

• 그러나 장기적으로 위챗은 중국내 핵심 플랫폼으로 부각 전망. ‘미니프로그램’에 기인

• 또한 2021년에는 위챗 기반 광고 사업과 결제 매출의 회복 기대감은 존재

• 규제 영향도 상대적으로 제한적. 핀테크 사업 내 자체 비중 높다는 점은 긍정적

• 텐센트는 2021년 P/E 35배 거래. 2014 ~ 2019년 평균 P/E 34배와 유사

• 밸류에이션 메리트가 크진 않지만 위챗 기반의 이커머스, 광고, 결제 점유율 상승 주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