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캔들은 과거형. 거래량은 미래형
거래량은 주식의 가격을 미리 결정하는 요소이며, 캔들은 과거의 기록을 나타내는 요소라서 저점매수, 고점매도를 예측하게 할 수 있다.
- 주가상승 : 매수자가 많아지고 바닥권 거래량이 터지며 양봉이 뜸. 윗꼬리,아랫꼬리가 바닥권에서 형성되면 매집을 하고 있다는 뜻.
- 주가하락 : 매도자가 많아지고 상투권 거래량이 터지며 음봉이 뜸. 양봉일때도 매도세를 의심해봐야함. 윗꼬리 아랫꼬리 둘다 하락반전의 뜻.
2. 주가와 거래량 변화에 대한 일반적 이론
거래량 상승 --> 주가상승 --> 가격상승 --> 매도세 증가 --> 매수자 증가 --> 거래량 상승.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거래량이 증가해야함.
(주식을 매수한 이들은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팔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가격이 오를 수록 매도세는 늘어나고, 계속 매도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으면 거래량이 올라간다.
-->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한다면 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
거래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우 주가는 하락
--> 매도하고자 하는 주체보다는 매수하고자 하는 매수세가 사라지고 있다는 뜻.
세력들이 일부러 떨어뜨리려고 방치하는경우도 있음.
* 주식시장에서 매도세는 항상 일정하게 존재하지만 매수세는 일정하지 않음.
--> 가변적이고 상대적이고 예외적인 현상들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필요.
* 이상적 거래량 = 점진성 거래량
단기 바닥권을 마무리 하고 거래량이 뒷받침되면서 상승하는 주식
--> 쉽게 급락하지 않음.
* 불규칙한 대량거래
거래량이 평균거래량(20일정도)의 10배이상 폭증하는 경우는 당일 주가 변동폭이 상당히 커짐
--> 바닥권, 상투권에서 나타남
실전에서 유통물량이 적은 중,소형주들은 단타세력의 작전은로 대량거래 장대양봉 다음날 장대음봉 연출많음.
* 물량매집 대량거래 --> 급락권 횡보권에서 나타남
- 목적: 물량 단기매집
- 결과: 이후 주가는 저점을 일탈하지 않고 조만간 상승추세로 전환.
* 이상적 거래량 매수
일정기간 정체, 최저점.
2일째 거래량이 증가하며, 3일째 거래량 감소, 4일째 거래량이 3일째 거래량을 상회할때.
* 거래량(주식매매의 총합=매수량+매도량)
수급(수요와 공급을 아우르는 말)
"거래량이 많다 = 수급이 좋다"
월봉-->주봉-->일봉-->분봉을 보면 거래량의 깊이를 알수있다.
출처: 슈퍼개미 배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