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투자공부208 나의 투자일지 [내일 볼 주식]- 소시오넥스트- 에자이(에이사이)- 이비덴- 스미토모 금속광산(5713) --> 왜 계속 내리막인지, 더이상 위험하지 않은지 알아보기- 아지노모토 - 다이치산쿄(4568) - 고이토- 베이스- FPG- 아스텔라스- 키코만- 일본전산(Nidec)- 소프트뱅크그룹- 세븐앤아이 홀딩스- 니토리- 어드밴테스트- 신에츠화학- 덴소- 소프트뱅크 2025.3.28소시오넥스트(6526) 100주매수 매수단가 1957.5엔 환율: 100엔 983원, 1달러 150엔 (수수료포함 매수단가:1959.26)배당락의 여파로 2000이 다시 깨져서 샀다.노무라가 비율을 줄이고 있고, 더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지만, 남아있는 엔화도 있었고, 장기적으로 사업의 방향을 보고 매수했다. 2025... 2025. 3. 28.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 상호관세 발표와 목적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내달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이를 신속히 시행하기 위해 관세 조치를 2단계로 나누어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목적: 공정 무역 체계 구축보다는 감세 정책에 필요한 세수 확보에 중점긴급 관세 부과를 위한 법적 근거백악관은 기존에 잘 사용되지 않던 법 조항들을 활용해 신속한 관세 부과 추진무역법 301조각국의 무역 관행을 조사하고, 부당한 조치를 취한 국가에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함1930년 관세법 338조미국과의 교역에서 불공정한 조치를 한 국가에 대해 최고 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조항국제비상경제권법(IEEPA)국가 비상 상황에서 경제적 제재를 즉시 발효할 수 있는 법적 근거무역법 122조 (채택 가능성 낮음)최대 15%의 관세를 150일 .. 2025. 3. 26. 비과세 배당기업 비과세 배당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상장사들이 주주환원을 강화하고 오너의 현금 확보를 위한 감액 배당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만 해도 100개 이상의 기업이 자본준비금을 감액해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안건을 상정했으며, 이는 세후 수익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지나친 감액은 재무건전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비과세 배당 증가 현상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감액 배당을 추진하는 상장사가 급증하고 있음. 올해 들어 100개 이상의 상장사가 자본준비금을 감액해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안건을 상정함. 배당 확대를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이고, 오너가의 승계 자금 확보에도 유리함. 2. 감액 배당의 정의와 장점감액 배당은 자본 항목을 줄여 주주에게 돌려주는 형태로, 비과세가 적용됨. 배당소.. 2025. 3. 14.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이면 홈플러스 인수 배경MBK파트너스는 2015년 9월 홈플러스를 6조 원에 인수3조 2000억 원은 펀드 및 투자자 자금을 통해, 2조 7000억 원은 홈플러스 부동산을 담보로 인수금융을 통해 조달LBO(차입매수) 방식LBO는 피인수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인수를 진행하는 방식홈플러스의 경우, 부동산을 담보로 사용한 것이 특징LBO는 법인세 절감과 업무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지만, 과도한 차입으로 인해 경영 위험을 증가LBO(차입매수) 장단점장점:법인세 절감: 차입금 이자가 비용으로 인정되어 법인세를 절감 가능효율성 개선: 이자 비용 증가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압박이단점:경영 위험: 업황 악화 시 기업이 부채를 감당하지 못할 가능성 존재자산 부담: 피인수기업의 자산이 담보로 제공되므로.. 2025. 3. 8. 인터넷전문은행의 예금금리 인하 예금금리 하락 배경인터넷전문은행(인뱅)들은 최근 예금금리를 줄이고 있다. 6개월 만기 상품 예금금리는 케이뱅크 - 3.00%, 카카오뱅크 - 2.85%, 토스뱅크 - 2.70%로 전월 대비 0.07%~0.3% 하락기준금리 인하의 영향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국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75%로 낮추었고, 이는 시중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 발생인뱅의 상품 구조와 규제인뱅은 시중은행과 달리 단순한 상품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금리 변동에 민감주로 예금과 대출 상품에 집중된 인뱅은 다양한 금융 상품을 통해 금리 변동의 영향을 상쇄하기 어려운 구조중저신용자 규제인뱅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를 달성해야 하며, 이는 재무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증가정부는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목표를 .. 2025. 3. 7. 한국, 가상자산 현물 ETF 추진 미국의 비트코인 현물 ETF미국은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달러 패권을 확대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을 전략 비축 자산으로 삼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이에 따라 한국도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하기로 방향을 잡았다미국의 비트코인 현물 ETF 성과자금 유입: 블랙록의 IBIT 등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에 약 52조 9509억 원이 순유입 그레이스케일의 GBTC를 제외하면 약 85조 3137억 원이 유입비트코인 흡수 효과: 비트코인 현물 ETF의 출시로 전 세계 비트코인이 미국으로 집중되는 효과 발생한국의 가상자산 시장 규제법인 계좌 허용 필요: 가상자산 현물 ETF를 출시하려면 자산운용사가 비트코인을 보관할 .. 2025. 3. 7. 기업 신용등급 하락과 자금조달 위기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이후, 국내 기업들의 신용등급 하락과 자금조달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특히 건설업과 배터리 업종을 중심으로 위기감이 커지고 있으며, 회사채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의 신용등급 하락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하향 조정국내 신용평가에서도 부정적 전망 증가:A- 등급: 여천NCC, 에코프로 (부정적 전망)BBB+ 등급: 효성화학 (부정적 전망)신용등급 하락은 기업들의 자금조달 비용 증가와 투자자 신뢰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건설업계의 위기중소 건설사 법정관리 증가:철강구조물 전문 업체 거흥산업, 자금난으로 파산 신청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 채무 현실화로 자금난 가중대형 건설사 부채비율 .. 2025. 3. 6. 전 세계 기준금리 인하 도미노 올해 들어 경제 규모 20위권 국가 중 절반 이상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며, 글로벌 경제에서 금리 인하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도 2월부터 금리 인하 대열에 합류했으며, 미국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주요 국가들의 기준금리 인하 현황멕시코올해 기준금리를 연 10%에서 9.5%로 0.5%포인트 인하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 중 하나뉴질랜드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낮춰 연 3.75%로 유지경기 둔화와 수출 감소 우려를 반영한 조치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경기 부양 도모 금리 인하의 배경과 영향배경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미국의 금리 동결 기조에 따른 각국의 대응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지정.. 2025. 3. 6. 미국 증시 불안과 금융주 하락 주요 금융주 급락JP모간체이스: 3.98% 하락뱅크오브아메리카: 6.34% 하락씨티그룹: 6.25% 하락웰스파고: 4.84% 하락모간스탠리: 5.74% 하락S&P500 금융업종지수는 하루 만에 3.54% 하락하여 614.49를 기록이는 2023년 3월 지방은행 연쇄 파산 이후 가장 큰 낙폭 하락 원인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캐나다, 멕시코 수입품에 25% 관세, 중국산 제품에 10%포인트 추가 관세 시행경기 둔화 우려: IBD·TIPP 경제낙관지수가 52에서 49.8로 하락상업용 부동산 부실 우려: 샌프란시스코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 증가 (2018년 16.5% → 2024년 20.1%) ※ IBD와 TIPP는 경제 지표와 여론 조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기관 IBD (Investo.. 2025. 3. 5.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의 후폭풍 채권 투자자들의 위기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채권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볼 가능성이 제기2025년 3월 4일 기준으로 만기가 남아있는 홈플러스의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는 1940억 원 규모CP와 전단채 신용등급이 'A3-'에서 'D'로 하락현재 변제 의무가 없는 상태대부분 대형 증권사의 리테일 부서를 통해 판매됨 국민연금의 잠재적 손실국민연금 역시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로 인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가능성MBK파트너스가 2015년 홈플러스 인수 시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국민연금이 약 6000억 원 투자변제 순서에서 후순위에 위치해 손실 가능성 높음 상품권 사용 중단으로 인한 혼란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돌입으로 인해 여러 제휴사들이 홈플러스 상품권 수취를 중단CJ푸드빌.. 2025. 3. 5. 에이사이 [에자이 eisai 4523] [25.2.26] eisai는 30여 개국의 시장을 확보한 연구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회사이다. 핵심 제품으로는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아리셉트’가 있다. 1996년 미국 식품 의약품국으로부터 승인받은 이후 이듬해 런칭되었으며, 아리셉트의 판매를 기반으로 2009년 3,229억 엔의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하였다. 아리셉트의 특허가 만료된 2009년 이후 전체 매출액이 축소되었으나, 할라벤(유방암), 파이콤파(간질) 등의 신약 출시에 따른 매출 전환이 기대된다. roe도 낮고, 영업이익이 24년12월에 엄청 줄었네.. capex보니 이번년도에 신규투자를 많이 하나봐... 신약개발하나...지금까지는 3월과 9월에 주당 80엔의 배당금을 주었다. 현재 배당금 약 3.5~4%대. 3일연속 주가가 올라서 배당률이 .. 2025. 2. 26. 연금 투자 여정의 시작 : S&P500과 나스닥100 매수 일기 오늘부터 매주 KODEX 미국S&P500과 KODEX 나스닥100에 투자하고, 그 수익률을 기록하며 공유하고자 합니다. 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가? 저는 노후 대비를 위해 연금 투자를 시작했습니다.미국 주식 시장은 세계 경제의 중심이며, 장기적으로 꾸준한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특히 S&P500과 나스닥100은 미국 대표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종목들도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매수/매도를 진행하고 있기에 적립식으로 투자를 진행할 S&P500과 나스닥100만 먼저 매수 일지를 기록하고자 합니다. 작년과는 달리 변동성이 크지만, 작은 금액이지만 꾸준히 투자하면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연금 투자에 대해서 다양한 정보를 함께 나누.. 2025. 2. 23. 비노스beenos(3328) 2025.2.19 라인야후재팬이 비노스를 인수한다고 함. 비노스의 10년전(2014~2015년) 주가 그래프 2025. 2. 21. 이비덴ibiden 2025.2.5 3분기와 달리 Electronics 사업부의 부진이 전사 매출 및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 AI향 수요는 견조하지만, PC 및 범용 서버향 가동률 감소로 인한 부담이 더욱 확대된 것으로 추정 제품별 매출 동향 – AI 제외 부진 AI 서버용 패키지 기판 수요는 견조했으나, PC 및 범용 서버용 고기능 IC패키지 기판 수요 감소와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매출 및 영업이익이 동반 감소. Ibiden은 수요가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나 회복 속도는 기대보다 느리다고 언급. 본격적인 회복 기조 진입은 빨라도 2025년 후반 이후를 예상. 그 외 Ceramics 사업부는 매출액 189억엔(-3.4% QoQ, -23.6% YoY), 영업이익23억엔(-19.6% QoQ, -34.0% YoY)을 기록. .. 2025. 2. 21. TDK [point 요약]무라타제작소와 경쟁사.스마트폰 배터리 공급업체.2차전지도 제조. [일지] 2025.2.18오늘 수수료포함 1673.5엔에 100주 매수 2025.2.7헛... 어제 사려고 했는데,, 오늘 4프로이상 갑자기 튀어오를줄이야... ㅠㅠ 2024.10월 newsTDK는 전기차 산업 확대를 목표로 맥라렌 레이싱과 전기 모터 레이싱 분야에서 제휴를 맺었습니다. TDK는 전 세계 스마트폰 배터리의 최대 공급업체로, 주력 사업을 전기차 공급망으로 확대하려고 합니다. TDK의 주식은 올해 39% 상승하여 일본 대표 지수인 Topix의 13% 상승률을 초과했습니다.애플 공급업체 TDK가 전기차 부문 확장을 목표로 맥라렌 레이싱과 포뮬러 E 전기 모터 레이싱에서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한때 카세트 테이.. 2025. 2. 18. 2025년 2월에 종료되는 일본주식 배당률 순위 1위는 si홀딩스(3608) : 배당수익률이 5% 상회 Baroque Japan Limited(3548), BELLSYSTEM24 Holdings(6183), AIT(9381)도 배당수익률이 4%대 후반. 2월 배당락 마지막 거래일은 아사히(3333)와 옥와(8217)의 경우 2월 18일, 기타 주식의 경우 2월 26일이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아사히(3333)은 우리가 알고있는 아사히 양조가 아니라, 자전거 유지보수서비스업과 자전거 부품 판매업을 하는 기업이다. 2025. 2. 17. 일본전산(Nidec 6594) 도쿄, 1월 23일 (로이터) 일본 전기 모터 제조업체 Nidec은 데이터 센터 발전기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가로 3분기 영업 이익이 5% 증가했다고 목요일에 발표했습니다.12월 말까지 3개월 동안의 영업이익은 총 545억 엔(3억 4,800만 달러)으로 전년 동기 518억 엔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이는 LSEG가 설문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623억 엔의 이익보다 낮은 수치입니다.교토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3월 말까지의 연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0% 가까이 개선된 2,400억 엔에 달할 것이라는 연간 전망을 고수했습니다.이 회사는 차세대 그래픽 처리 장치 공급 지연과 유럽 자동차 시장의 침체로 인한 영향으로 3분기에 전 분기 대비 10% 감소한 실적을 기록해 전분기 대비 .. 2025. 2. 14. 머크(MRK) 2025.2.6요새 머크 주식 몇년전 주가인데, 한번 사볼까...전망이 딱히 나쁠게 없는데 말이다. 2024.12.19머크 (MRK): 중국 한소제약과 최대 20억 달러 규모의 비만약 개발 제휴 계약 체결- 머크는 중국 한소제약과 최대 20억 달러 규모의 비만 치료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해당 후보 물질을 토대로 신약을 개발하고 제조, 판매할 수 있는 독점 글로벌 라이선스 확보 - 머크는 한소제약에 선수금으로 1.12억 달러를 지급하고, 향후 신약 개발 및 상업화 수준에 따라 최대 19억 달러를 추가 지급. 신약 후보 물질은 경구용 GLP-1 계열 물질 2025. 2. 6. 존슨앤존슨(J&J) 2025.1.13 미국 존슨앤존슨(J&J)은 최근 중추신경계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인트라셀룰러 테라피스(Intra-Cellular Therapies)를 약 146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13일(현지시간) 개막된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투자 행사인 '2025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서 전격 공개됐다.J&J는 이번 인수를 통해 인트라셀룰러의 정신분열증 치료제 '카플리타'(Caplyta, lumateperone)를 확보하게 됐다. 카플리타는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 관련 우울증 치료제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취득한 약물이다. J&J는 카플리타를 확보함에 따라 연간 최대 5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벌어들일.. 2025. 1. 21. 엔비디아가 일본 ai유니콘 사카나에 투자 엔비디아, 日 유니콘 '사카나AI'에 투자…대주주 된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인공지능(AI) 반도체업계 선두주자 엔비디아(NAS:NVDA)가 구글(NAS:GOOGL) 출신 연구원들이 창립한 일본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비상장 기업) 사카나AI에 투자한다. 사카나AI는 4일(현지시간) 엔비디아 등 여러 회사로부터 총 200억 엔(약 1천860억 원)의 투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사카나AI의 시리즈A 투자에 참여한 기업은 미국 벤처캐피털(VC) 뉴엔터프라이즈 어소시에이즈(NEA)와 코슬라벤처스, 럭스 캐피털 등이다. 이 중 엔비디아는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해 대주주가 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연구 개발(R&D)과 일본 인공지능(AI) 인재 육성 등 여러 부문에서 사카나AI와 협업할 방침이다... 2024. 9. 11. 이전 1 2 3 4 ··· 1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