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무벡스가 AI(인공지능)/로봇 스타트업 씨메스와 함께 미래형 스마트물류 솔루션 개발과 혁신적인 자동화 물류환경 구축을 위한 공동사업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현대무벡스 측은 "첨단 스타트업 씨메스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개발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스마트물류 고도화를 위해 자체 R&D역량 강화뿐 아니라 대외협력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현대무벡스가 AI(인공지능)/로봇 스타트업 씨메스와 함께 미래형 스마트물류 솔루션 개발과 혁신적인 자동화 물류환경 구축을 위한 공동사업에 나섰다. 사진=현대무벡스 제공
씨메스는 3D비전(3차원 영상인식) 로봇솔루션 기반 '비정형 3차원 로봇제어 시스템'을 앞세워, 최근 업계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AI/로봇 전문회사다. '비정형 3차원 로봇제어 시스템'은 3D비전 기술을 탑재한 로봇이 사람처럼 눈과 지능을 가지고 규칙이 정해지지 않은 비정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로봇제어 기술이다. 양사는 이날 현대무벡스 청라R&D센터에서 'AI/로봇 스마트물류 솔루션 혁신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미래기술 개발은 물론 두 회사의 강점이 결합된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현대무벡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주력 사업인 스마트 물류자동화 부문의 AI/로봇 역량을 한 층 더 업그레이드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무벡스가 보유한 국내 최고 수준의 '토털 스마트물류 솔루션'에 씨메스의 AI/3D비전 기반 '랜덤 오브젝트 디팔레타이저'(팔레트 위 비정형 박스를 인식해 옮기는 로봇팔)가 접목될 경우, 보관·분류·이송 등 물류 프로세스에 혁신적인 자동화 성과가 기대된다. 또 상호 강점 기술을 융합해 미래형 스마트물류 로봇솔루션 개발 협력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현대무벡스의 탁월한 물류자동화 솔루션과 씨메스의 3D비전, AI로봇제어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 상하차 로봇 △MFC(도심중소형물류센터)솔루션 △AI피킹로봇 등 하이테크 물류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한다. 현대무벡스는 스마트물류 기술 고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라R&D센터가 문을 연 '19년 이후 수십여 종의 핵심 물류기술을 개발·상용화했고, 올해 상반기만 15건, 지금까지 총 75건의 물류 신기술을특허 등록했다. 씨메스는 "무벡스의 토털 스마트물류 사업역량에 씨메스의 첨단 AI/로봇제어 기술을 합하면 이제껏 보지 못한 혁신적 시너지가 발휘될 것"이라며, "씨메스가 제조를 넘어 물류분야까지 로봇자동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무벡스는 무슨회사??
2018년 5월 1일 부로 그룹내 IT업체인 현대유엔아이와 합병이 되었으며 합병 회사명은 현대무벡스로 결정되었다.
물류자동화사업부문에서 크게 물류자동화시스템과 지하철스크린도어(PSD) 두가지 사업분야로 나누어 진다.
물류자동화시스템의 핵심 자동화로봇,장비 생산 및 자동창고 엔지니어링,컨설팅 등 전반적인 솔루션을 제공함.
제조업이지만 사업 아이템자체는 4차산업에 속해있다고 볼수있으며, 현대엘리베이터 시절 영업라인이 그대로 이어지기에 꾸준한 이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된다.
세계의 물류 자동화 시장 규모는 2019년 415억 달러에서 2027년까지 917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사업부문임.
국내 철도역 승강장 스크린도어(PSD)의 50%이상이 이 회사에서 깔아놓은것.
- PSD 미설치 역사와 추가적으로 예정되어있는 역사를 고려할때 이부문 역시 꾸준한 이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투자공부 > follow 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18 증권사리포트 요약 (0) | 2022.11.21 |
---|---|
다우기술, 스페이스 리버 흡수합병 2022/10/24 (0) | 2022.11.09 |
2022.3분기 실적발표일정 (0) | 2022.10.24 |
롯데칠성, 건기식 전문스타트업 빅썸지분 53% 인수 (0) | 2022.09.01 |
코오롱글로벌 유상증자,신주인수권증서 거래일정 (9/16 업데이트) (0)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