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3.5.4
최근 의약품시장에서 반복적으로 품귀 현상이 ‘요소수 대란 사태’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나온가운데 국내 생산 원료를 등록한 하나제약이 부각되고 있다.
4일 오후 1시 26분 현재 하나제약은 전거래일 대비 4.66% 오른 1만504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한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촉발된 타이레놀 수요가 급증해 '요소수 대란 사태'와 비슷한 실정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원재료 확보가 가능함에도 국내 생산이 대부분 이뤄지지 않아 수입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이를 대체할 관련기관들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타이레놀의 주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불리는 화학물질이다. 아스피린만큼 만들기 쉽고 저렴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처럼 국내에서 반복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는 것은 거의 대부분을 수입해서 쓰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수요가 갑자기 늘더라도 공급을 탄력적으로 하기 어려운 구조인 셈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원료 의약품 자급률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국산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원료의약품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을 등록한 91건 중 중국 생산 원료를 쓰는 것은 73건(한국 공동제조 2건 포함)으로 80%를 차지한다.
국내 생산 원료를 등록한 곳은 하나제약과 코오롱제약 단 2곳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23.4.5
프로포폴 허가 이후 30여년 만에 출시된 마취 신약인 바이파보주의 유럽 내 전신마취 적응증 획득은 일본, 국내에 이어 3번째이다.
파이온사의 한국 파트너인 하나제약은 일반적인 신약 도입 루트로 택하는 수입 완제품 대신 바이파보주를 자사에서 제조·판매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기간 동안에도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왔다.
하나제약 관계자는 "바이파보주의 금번 추가 적응증 승인이 국내 매출 상승에 도움은 물론 동남아 6개국의 허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태홍 하나제약 대표이사는 "바이파보주의 추가 적응증 승인이 현재 시판 중인 일본,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프로포폴과 미다졸람을 대체할 수 있는 마취제 신약으로서 위상을 굳건히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레미마졸람의 학술적 발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728x90
'투자공부 > 한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에스티 (2023/4/18 updated) (0) | 2023.05.08 |
---|---|
아이티엠 반도체 (2023.3.30 updated) (0) | 2023.04.11 |
ls머트리얼즈 (2023.4.4 updated) (0) | 2023.04.11 |
파트론 (2023.4.10 updated) (0) | 2023.04.11 |
삼지전자 (2023.3.27 updated)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