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최근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이유

by natural.lee 2021. 3. 6.
728x90

중앙은행이 쓸수있는 정책

1.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정책 (초단리금리조절)

보통은 단기금리를 올렸다 내렸다하면서 조절. 국가가 돈을 빌려주면서 장기금리가 내려오게한다. -->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10년짜리 장기금리에는 잘 듣지 않는다. 

(기준금리는 1일짜리금리. 모기지금리는 10년짜리 금리에 연동한다. )

2. 양적완화 --> 장기국채매수 --> since global finance crisis

3. 회사채매입 

4. 장기금리 찍어누르기 

1) 장기채매수 늘림(양적완화확대)  2) operation twist   3) yield cover control

 

 

최근에 장기금리 상승에 대한 대답에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미국이 계속해서 회복한다면 국채 수익률 상승은 고무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로젠그렌총재는 '국채금리상승은 경제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에스더 조지 캔자시스티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장기물 국채수익률 급동은 우려할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에반스 총재는 '장기물 국채수익률 상승은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라며 국채 수익률 상승은 회복에 대한 신뢰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국채수익률 수준은 개선된 경제 전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연준이 수익률 수준 상승에 대응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진단했다. 리치몬드은행의 바킨 총재는 '금리상승을 문제라고 보지않으며, 장기 금리는 여전히 낮다'고 강조했다. 파월의장은 '최근의 국채 금리상승에 대해서는 별다른 우려를 표하지 않았다. 그는 금리상승은 경제가 회복 경로에 있다는 점에 대한 신뢰의 표시라고 말했다. 파월의장은 국채수익률 상승, 기술주 등 금리에 민감한 자산가격 하락등 최근 금융시장에 영향을 나타내고있다고 강조하였다.(기술주 주가가 몇개 떨어지는 것은 걱정하지 않는다는 말)

--> 장기금리를 찍어누르지 않을거라는 이야기를 함. 시장의 기대와 어긋나는 정책사인. 주식시장에는 안좋은 메세지. 

 

Fed는 주가에는 관영하지 않는다. 자산가격에는 신경쓰지 않으나, 돈을 풀지 않아서 실물경기가 무너질지도 모르는 것이 두려울뿐이다. (실물경기를 측정하는 지표는 고용지표) it관련주(성장주)주가가 크게 흔들려서 실물경기가 흔들린다면 fed는 개입할 것이다. 

 

밴 버냉키는 2001년의 닷컴붕괴는 8개월동안 밖에 지속되지 않았다고 발언한적이 있었고, 이것은 실물경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는 다르다. 그 당시에는 은행이 부실했기때문에, 버블이 터졌을때 경기침체의 기간이 훨씬 길었다.

파월의장은 '금융시스템의 레버리지는 완만하다'면서도 '일부자산가격은 상승했다'고 진단했으며, '대형은행의 자본이 늘어나는 등 지금 은행은 강하며 상황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다르다'라고 말했다. 채권시장의 금리가 크게 뛰어올랐음에도 불구하고 파월의장은 지금의 정책은 적절하다고 말했다. 

--> 장기금리상승의 용인을 FED가 언제까지 용인할지가 관건이다. 

 

 

그러나, 금리가 오르더라도 주가는 오를수있다. 코로나로 인한 백신, 역대급의 재정정책, 보복소비 등으로 성장에 대한 기대가 커지더라도 주가는 오를수는 있다. 또한 각국의 가계부채의 총량이 많이 늘어나서, 조금만 금리상승을 해도 충격이 가기 때문에, fed는 금리의 상승속도를 조금씩 늦춰줄 것이다라는 기대가 있다. 

금리가 올라가는 속도보다 성장이 올라가는 속도가 빠르다면 주가에 금리상승이 크게 악영향을 주지 않을수있다. 

금리가 오를때 가장 우려가 되는 주식은 고per주이다. 

per의 역수가 주식의 기대수익률. per가 500배인 주식은 기대수익률이 0.2%. 채권금리가 1.5%라면 채권이 훨씬 안정적인 투자처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래 벌던 돈보다 열배를 더 번다면 채권금리보다 기대수익률높아져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수있다. 

 

단기자금시장의 금리는 현재 0~0.25%를 유지해야하는데, 요즘 단기자금시장의 돈이 넘치고있어서 그 이하로 기준금리가 내려가려고 한다. 이를 막으려고 IOER (interest on excess reserve = 초과지준에 맡기는 금리)를 인상하려고 한다. 간단히 얘기하면,시중은행은 중앙은행에 돈을 예치하기때문에 시중은행의 지준계좌가 있다. 단기자금시장에 돈이 너무 많이 돌면 지준계좌에 금리를 올려서 돈을 맡기게 하는 것이다. 

728x90